
수능을 끝낸 지금, 마음은 가벼운데 막상 무엇부터 해야 할지 헷갈릴 수 있어요. 며칠 쉬는 사이 일정이 엇나가면 나중에 더 스트레스 받기도 하죠. 이 글은 회복→점검→즐김→진로→기록 순서로 “바로 실행 가능한” 루틴을 제공합니다. 오늘 체크리스트만 따라도 방향이 또렷해질 거예요. 🎉
1. 몸·마음 회복 루틴 🤗
초반 3~4일은 과감히 회복에 올인하세요. 수면 8~9시간, 규칙적인 기상·취침, 따뜻한 식사와 수분, 30분 산책이 핵심입니다. 감기·독감이 유행하는 시기엔 손 위생과 마스크, 과로 금지가 가장 좋은 보험이에요.
디지털 디톡스 48시간도 추천! SNS·영상 대신 산책, 스트레칭, 친구와 대화로 긴장을 풀어주세요. 마지막으로 “오늘의 감사 3가지”를 적어두면 회복 체감이 훨씬 빨라집니다.
컨디션이 무너지면 이후 일정(논술·면접·환산·모의지원)이 줄줄이 흔들립니다. 회복→루틴 순으로 잡는 게 가장 효율적입니다.
2. 수시·정시 한눈에 점검하기 🎓
수시는 대학별고사(논술·면접·실기) 일정·장소·준비물을 정리하고, 정시는 가채점→모의지원 교차확인→학과 포트폴리오(상향2·적정3·안전2)를 만듭니다. 대학별 반영비율과 가산점, 영어·탐구 반영법을 미리 익혀두면 성적 발표 후 결정 속도가 빨라져요.
모의지원은 한 곳만 보지 말고 여러 플랫폼을 교차해 공통 구간을 찾으세요. 이후 대학별 환산표로 유·불리를 체크하면 실전 적용이 됩니다.
수시·정시 체크표
| 구분 | 설명 | 비고 | 기타 정보 |
|---|---|---|---|
| 수시 | 논술·면접·실기 일정/장소/준비물 정리 | 기출 3개년 필수 | 동선 시뮬레이션 |
| 정시-가채점 | 모의지원 2~3곳 교차 확인 | 공통 구간 찾기 | 컷 변동성 주의 |
| 정시-전략 | 상향2·적정3·안전2 포트폴리오 | 군별 조합 미리 | 환산표로 유·불리 |
| 정시-준비 | 영어/탐구 반영법, 가산점 숙지 | 공식 공지 확인 | 발표 후 즉시 적용 |
대학/연도별 전형 요소는 달라질 수 있어요. 비공식 커뮤니티 정보만 믿지 말고 반드시 대학 공식 공지로 최종 확인하세요.
3. 수능 후 버킷리스트 & 1일 루틴 🧮
즐길 땐 즐기되, 하루 1시간만 진로·입시 루틴에 투자해요. 아래 예시 루틴으로 “쉬면서도 방향을 잡는” 균형을 만들 수 있어요.
📝 샘플 1일 루틴
아침 30분: 스트레칭·산책 · 감사 3가지 기록
오후 30분: 모의지원 교차확인/환산 연습 · 학과 포트폴리오 업데이트
예시 버킷리스트: 근교 1박2일·이미지 변신(헤어/피부)·콘서트/전시·아르바이트·영상/블로그 프로젝트·필라테스/러닝 스타터.
🔢 나에게 맞는 ‘버킷-루틴’ 선택
4. 진로 탐색 빠른 시작법 💼
전공이 평생 직업을 결정짓지는 않아요. 다만 직무 탐색은 빠를수록 유리합니다. 아래 4단계만 돌려도 방향이 또렷해져요.
① 공개 적성검사(워크넷/커리어넷) → ② 직무 인터뷰·채용공고 키워드 수집 → ③ 온라인 강의 3개 체험 → ④ 멘토/교사 피드백.
5. 회고·포트폴리오로 증거 만들기 📚
자소서·면접은 결국 내 경험을 구조화해서 말하는 능력입니다. “수험 회고 포스트/오답노트 프로젝트/3분 발표 영상”을 만들어 증거를 쌓아둬요.
회고 템플릿
- 이번 수험에서 가장 크게 배운 점 3가지
- 힘들었던 순간과 대응 전략
- 다시 한다면 바꿀 1가지
- 꾸준히 잘한 루틴은 무엇이었나
포트폴리오 예시
1) 과목 요약·오답노트 시연 2) 하루 일과 브이로그 3) 관심 전공 미니 프로젝트 4) 발표 영상 3분 버전
최종 체크
- PDF/노션 링크로 한 페이지 정리
- 면접 예상 질문에 스토리 기반으로 대답 연습
마지막으로, “오늘의 행동”을 남겨두세요. 작고 분명한 한 걸음이 내일을 바꿉니다.
오늘부터 적용하는 핵심 요약
자주 묻는 질문 ❓